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매6

경매 권리분석 하는 법 권리분석이란경매에서 권리분석은 기초 중에 기초라고 할 수 있다.권리분석이란 법원경매를 통해 경매물건을 낙찰받기 전 낙찰자가 낙찰대금 이외에 추가로 인수해야되는 권리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이다. 권리분석을 하기 위해서 기준이 되는 권리를 찾아내어 그 이전 권리는 인수되고, 그 이후 권리는 말소된다. 이 때 인수되는 권리와 말소되는 권리를 구분해야 하며, 낙찰 후에도 소멸되지 않는 권리는 낙찰자에게 인수된다. (출처: 나무위키) 권리분석 하는 방법등기부등본 확인하기등기부등본은 경매 사이트에 가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단, 경매사이트에 저장된 등기부등본이 발급한지 오래된 것일 수 있으므로 낙찰받을 물건이면 등기소에서 직접 등기부를 열람하는 것이 좋다.등기부등본은 표제부, 갑구, 을구로 구성되어 .. 2025. 3. 23.
경매 물건 손품 파는 법 (feat. 옥션원) 경매 사이트 선정경매 물건은 대법원이나 경매 사이트를 이용하여 조회할 수 있다. 경매 사이트에는 유료와 무료가 있는데, 대법원이나 무료 경매 사이트보다 유료 경매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물건을 찾는데 더 좋다. 경매 사이트에서 물건 검색하기검색하기옥션원 사이트에 들어가서 경매검색 메뉴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 * 물건현황 : 유찰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신건은 현재 나와있는 싯가와 비슷하고, 유찰 횟수가 너무 많은 물건은 위험하기 때문에 적당히 1~3회로 설정하여 검색한다.* 물건종류 : 아파트, 상가, 주택 등등 물건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 매각기일 : 입찰을 하고자 하는 기간을 선택한다.* 주소선택 : 원하는 지역을 선택할 수 있다.  물건 정보 확인하기이제 여기서부터는 스킬과 .. 2025. 3. 16.
권리분석의 핵심, 말소기준등기 자세히 알아보기 권리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인 말소기준등기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말소기준등기란낙찰받은 부동산에 설정된 권리가 인수되는지, 소멸되는지 기준이 되는 등기다. 말소기준등기 기준으로 선순위의 권리들은 소멸이 되지만, 후순위에 있는 권리들은 소멸이 되는 등기를 말한다. 만약 A라는 등기가 말소기준등기가 되면 A 다음에 있던 B, C, D, E 등등 후순위의 등기는 소멸이 된다. 하지만 예외로 소멸되지 않는 등기도 있다. (유치권, 건물철거가처분, 예고등기) 말소기준등기 종류저당, 근저당저당, 근저당의 민법에 적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더보기저당권은 채무자 또는 제삼자가 채무의 담보로 제공한 부동산의 점유를 이전하지 않고 채무의 담보고 제공한 부동산에 대해 다른 채권자보다 자기채권의 우선변제를 받을 권리를 말.. 2024. 12. 27.
부동산 경매 절차 총 정리 경매 절차는 크게는 압류, 매각, 배당 3단계로 진행되며 세부적으로는 총 9가지로 구성된다. 이 9가지 항목에 대해서 세세하게 알아보고자 한다.1. 채권자의 경매신청부동산이 경매에 나오게 되는 이유는 한 가지다.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빚'을 갚지 않아서다. 채무자가 빚을 안갚았을 때 채권자는 법원에 경매를 신청하게 된다.2. 법원의 경매개시결정법원에서는 신청들어온 경매를 바탕으로 경매개시를 결정한다. 법원은 채무자에게 부동산이 곧 경매에 들어간다는 안내문을 전달하게 되고, 이때 등기에는 임의경매개시결정이라는 기록이 남게 된다.3. 현황조사 혹은 매각 물건 감정평가집행관들이 현장에 나와서 해당 부동산에 채무자가 살고 있는지, 임차인이 살고 있는지, 혹은 공실인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는 현장조사를 진행한다... 2024. 12. 4.
경매의 기본, 권리분석이란 무엇일까 경매를 처음 접하다 보면 권리분석이라는 단어가 항상 나온다. 그만큼 중요하다라는 뜻인데, 권리분석의 기초 개념을 알아보고자 한다. 권리분석이란어떤 부동산이 경매로 낙찰되면 그 부동산에 존재하던 권리들은 대부분 낙찰로 소멸된다. 그러나 낙찰 후에도 소멸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낙찰자에게 인수되는 권리도 있다. 부동산 경매 입찰자는 낙찰 후에 인수해야 하는 권리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해야 하는데 이를 권리분석이라고 한다.권리분석은 말소기준권리를 바탕으로 낙찰자가 인수되는 권리 여부에 대한 판단을 하는 것이다. 말소기준권리 이후에 권리는 이후에 보통 말소되지만, 유지되는 권리가 있기 때문에 권리분석이 꼭 필요하다.즉, 경매에 입찰하기 전 말소기준권리를 바탕으로 권리상의 하자 여부를 판단하고 인수되는 권리로 인한 .. 2024. 12. 4.
경매란 무엇일까, 임의경매와 강제경매의 차이점 경매경매란 물건을 팔고자 하는 사람이 물건을 사고자 하는 다수의 사람에게 매수의 청약을 실시해서 그 중 가장 높은 가격으로 청약을 산 사람에게 물건을 매도하는 것이다. 보통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지급받지 못한 자신의 채권을 회수할 목적으로 시행하게 된다.채무자가 채무를 갚을 수 없는 경우에 법원에 경매를 신청하면, 법원은 입찰을 통해 채무자의 물건을 매각한 후 그 매각대금으로 채권자의 채권을 충당하는 것이다. 임의경매 vs 강제경매 임의경매임의경매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근저당권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근저당권근저당권이란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렸다는 근거이다. 채무자가 자신이 소유한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리면, 돈을 빌려준 채권자는 이러한 사항을 등기사항전부증명서에 명시한다. 이렇게 등.. 2024. 12. 3.